OK REHABILITATION MEDICINE
습관성탈구
어깨 관절이 한 번 탈구된 후 주변 구조물이 손상돼 가벼운 충격에도 반복적으로
탈구되는 질환으로 탈구되었을 때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의사가 아닌
일반인이 전문지식 없이 어깨를 끼워 맞췄을 경우 어깨 관절이 제대로 자리잡지 못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힘줄이 손상되거나 파열되어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힘줄 주변에 칼슘이 쌓여 석회가 침착되는데 젊은 연령층에서도 잘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석회 침착의 원인은 완전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힘줄의 퇴행성 변화나 혈액공급의
변화로 힘줄세포가 괴사하여 그 자리에 석회질이 침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깨 탈구는 빠져나오는 방향에 따라 전방, 후방, 다방향 탈구로 나뉘며 이 중 전방 어깨 탈구가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어깨 탈구는 일반적으로 운동을 많이 하는 10대와 20대의 남성에게서 잘 발생합니다.
운동 치료 | 비수술적 치료 | 수술 치료 |
---|---|---|
초기 탈구는 고정이 가장 중요하며 이후에 근력을 강화 하는 재활운동치료를 통해 재발을 막아야 합니다. |
석회를 제거하기 위해 체외충격파와 주사를 이용한 다발 천공 및 세척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길 경우 관절경을 이용한 석회제거술을 시행하며, 제거되는 석회의 양이 많아 힘줄에 결손이 생긴 경우 추가로 힘줄 봉합술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